10월16일(월) - Naver Cloud Platform Associate(NCA) 요약 정리
Cloud VS On-premise(온 프레미스)
Cloud | On-premise |
필요할 때 언제나 | 데이터 센터 구축 / 하드웨어 구매 |
사용한 만큼 지불 | 높은 초기 투자 비용 |
유연한 용량 | 한정된 용량 |
적은 노력 / 소요 시간 | 많은 공수 / 소요 시간 |
Cloud Computing 장점
초기 선투자 비용 없음 : 고정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미리 서버 구매 ㄴㄴ
운영 비용 절감 : 사용한 만큼 지불, 규모의 경제 적용, 지속적인 비용 절감
탄력적인 운영 및 확장 : 필요 용량에 대한 예측 불필요, 수요에 맞게 유연한 확장
속도 및 민첩성 : 수 분 만에 인프라 구축 가능, 빠르게 변화에 대응
비지니스에 집중 가능 : 혁신을 위한 실험 가능, 불필요한 인프라 관리 업무 제거
글로벌 확장 : 빠른 시간 내에 글로버 서비스 구현
Naver Cloud Platform 장점
국내 최대 IT 서비스, 안정적인 인프라 제공
글로벌 플랫폼
24시간, 365일 컨설팅
국내외 인증 받음
보안 뛰어남
한국어로 제공
Hybrid Cloud
공용 클라우드 (Public Cloud), 그리고 온프레미스 인프라 (On-Premises Infrastructure) 를 통합하여 운영되는 혼합 환경을 의미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장점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도입 시 고려할 |
가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운영 및 관리가 어렵습니다 |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습니다. | 비용과 보안을 고려해야합니다. |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성능과 호환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Multi Cloud
둘 이상의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를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 AWS(Amazon Web Service)
멀티 클라우드 장점 | 멀티 클라우드 도입 시 고려할 점 |
안정성이 향상 | 관리와 통합의 복잡도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 |
확장과 축소에 대한 유연함 | 데이터 통합에 대한 문제가 발생 |
특정 벤더에 대한 의존성이 낮음 | 관리에 대한 비용이 많이 발생 |
최적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 |
IaaS/ PaaS / SaaS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Cloud Service Provider)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해 제공하며,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CSP가 책임지고 관리
PaaS(Platform as a Service)
- IaaS 형태의 가상화 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Platform)을 미리 구축해, 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
SaaS(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제공하는 형태로 IT 인프라 자원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버그 개선 등의 서비스를 업체가 도맡아 제공
직접 구축(On-Premise) | Cloud |
사용량 최고치 기준으로 서버, 스토리지를 구매하므로 피크 타임 외에는 자원 낭비 | 사용 가능, 기간 기준으로 비용이 발생 |
서버나 시스템 확장 어려움 (필요한 용량을 추가로 산정하고 필요한 만큼 자원을 구해해야 함) |
필요시 시스템을 확장하고, 불필요한 경우 간단히 축소도 가능 |
시스템 변경, 장애 발생 시 시스템 이중화 및 백업 등 조치가 필요, 일시적인 중단 발생 | 서비스 제공 업체가 알아서 함 |
설계, 개발, 테스트 등의 과정을 모두 거쳐야 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설치하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 | 서비스 제공 업체가 준비된 자원을 활용하므로 신속하게 시스템 구축이 가능 |
글로벌 리전(Global Resions)
전세계 주요 10개 지역 - 6개의 클라우드 리전, 안정적인 글로벌 전용회선 제공
리전 별 커버리지(국가)
- 미국 서부 리전 :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 싱가포르 리전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홍콩 리전 : 홍콩, 대만, 마카오, 베트남, 필리핀
- 일본 리전 : 일본
- 독일 리전 : 유럽 (Euro 21개국), 아프리카, 중동 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호스팅(Hybrid Cloud Hosting)
네이버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환경과 클라우드 상품을 하이브리드로 제공
필요한 물리 장비를 임대해서 사용
- 각종 규제나 정책상의 이유로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는 경우 Hybrid Cloud Hosting이 해결책
- 클라우드에서 제공되지 않는 장비들을 임대해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운영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과 동일한 수준의 보안, 운영, 기술 지원
멀티 존(Multi-Zone) 구성
한국 리전부터 멀티 존 구성이 제공됩니다.
멀티 존을 활용해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구성이 가능합니다.
보안 존(Secure Zone) 구성 - classic만 가능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이 강화된 Secure Zo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SL-VPN을 통한 server 접속
- Secure Zone Firewall을 통한 접근제어
- DB Security Solution 을 통한 DB 보안
- Anti-DDoS, IDS(침입 탐지 시스템), WAF(웹 방화 벽) 등 강력한 보안 서비스 제공
Compute / Server
간편하게 구축하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종량제 서버
- 편리한 서버 생성
- 모니터링 기능 제공 : CPU, 네트워크, 메모리, 디스크에 대한 기본 모니터링
- 강력한 보안
- 효과적인 비용 관리
서버 타입 (vCPU와 Memory의 비) |
상품 코드 | 특징 | 추천 용도 |
Standard-g2(4배수) | S-g2 | 범용성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vCPU 대비 Memory 비율을 균형있게 할당, 다양한 워크 로드에 적합한 서비스제공 | 데이터베이스, 서버 개인 홈페이지 운영 |
High-CPU-g2(2배수) | C-g2 | 메모리 대비 vCPU 비율을 높여 컴퓨팅 집약적 워크 로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 | 과학적 모델링, 게임 서버 |
High-Memory-g2(8배수) | M-g2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메모리 집약적 워크 로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대규모 게임 서비스 |
CPU-Intensive-g2(2배수) | CI-g2 | 고성능 CPU를 장착하여 많은 연산이 필요한 업무에 최적화 | 머신/딥러닝 처리서버, 고성능 웹서버, HPC / 배치 처리, 비디오 인코딩 |
Compute / SSD Server
표준 서버보다 10~20배 이상의 고성능 I/O를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작업
Solid State Drive(SSD) 서버는 기본 4,000 IOPS(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를 보장
- 1GB 당 40 IOPS 보장
- 100GB 일 때 4000 IOPS.
- 최대 20000 IOPS 보장(500GB 일 때 최대 치)
- 500GB 밑이면 GB * 40 IOPS를 계산한다.
기본 디스크(리눅스 : 50GB, 윈도우 : 100GB, 확장 및 축소 불가)
Server / Network
네트워크 요금 : 아웃바운드 트래픽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은 다음 요금표에 따라 과금
인바운드 트래픽은 전구간 무료
요금에 대해 한번 보기
Server / 정지요금
서버 정지 시 요금이 발생
몇몇 서버를 제외하고 대부분 요금 할인이 된다.
GPU 서버, Baremetal 서버, High Memory 서버는 할인 대상에서 제외
서버 정지 시 할인 요금이 적용되는 서버의 경우 1회 최대 90일, 12개월 누적 180일 이상 서버를 정지할 수 없습니다.
Compute / GPU Server
A100, T4, V100, P40 4개 종류 밖에 없음
Compute / BareMetal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형태의 고성능 물리 서버
- 신뢰도 높은 고성능 서버
- 물리서버에 하이퍼바이저 없이 바로 운영체제를 설치 하여 제공
- 단독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능에 민감한 서비스도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
- CentOS, ORACLE Linux, RHEL, Windows OS 제공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 가능(단, 내서버 이미지, 스냅샷, 추가 스토리지 기능 제외)
- 서버 장애시 Live Migration 불가
Compute / Auto Scaling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 Auto Scaling 그룹에서 운영하는 모든 서버 자원 (CPU Usage, Load Average, Memory Usage 등)을 모니터링 자원 별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를 기준으로 모니터링하여 서버 수를 자동으로 조정
비정상 서버 감지 및 교체
- 서버 모니터링 중 서버가 다운되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 해당 서버를 서비스에서 제외하고, 똑같은 구성의 서버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서비스 가용성과 안정성을 유지
시간대별 서버 크기 자동 조절
- 서비스 특성에 따라 고객 트래픽이 몰리는 특정 시간에만 서버를 증대
반납할 서버 지정 가능
- Auto Scaling 기능을 통해 서버를 반납할 경우 먼저 생성된 서버부터 반납되는 것이 기본 만약 생성 순서와 관계 없이 특정 서버를 우선 반납하고 싶을 경우 API 질의 방식으로 반납 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용률이 낮은 서버부터 반납
Storage / Block Storage
추가 스토리지 크기 변경 가능
-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 크기를 최대 2,000GB까지 생성할 수 있고 서버 1대당 최대 16개의 스토리지를 사용
- 기본 1개 + 추가 15개
- 10GB ~ 2000GB 까지 생성 가능, 그 이상은 LVM(리눅스), 동적 디스크 할당(윈도우) 사용
-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환경이나 액세스 및 변경이 자주 일어나는 데이터 저장에 적합.
- 존이 같을 경우 스토리지 탈부착이 가능(다른 서버에 붙일 수 있다)
- 스토리지 사이즈 증가 가
스냅샷 기능 제공
- 스냅샷 기능은 스토리지의 현재 상태를 복제해 저장.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간단하게 백업하거나 복제해 다른 서버에 옮길 수 있으며 스냅샷에 백업해둔 데이터로 스토리지를 다시 생성해 복구
- 스냅샷이랑 백업은 다르다. 백업은 원하는 파일을 그대로 복사 하는 것이고 스냅샷은 스토리지 모든 것을 복제함.
- 백업은 파일, 디렉토리만 복사, 스냅샷은 설정 등 다 복사
Storage / Object Storage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 이미지, 비디오, 파일, 스냅샷 등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
암호화 기능
사용한 만큼 지불(GB 당 과금)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가능
Storage / Archive Storage
Object storage에서 스케쥴 기반으로 Archive Storage로 데이터를 이동한다
안 쓰는 데이터를 Archive로 옮겨서 저장한다.
제일 싸다. 근데 데이터 빼는데 비싸고 오래 걸린다.
Storage / Back up
파일 시스템 백업
- 파일 시스템 백업: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버(VM)의 데이터 백업 (파일 혹은 디 렉터리 단위로 백업 가능)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백업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서버 이미지로 제공하는 버전의 MSSQL, MySQL 온라인 백업 (데이터 복구를 위해 검증된 버전에 대한 지원만 제공하고 있으나 향후 다양한 DBMS 버전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백업 << 중요 특징
- 최소7일~ 최대52주까지 백업 파일 보관 가능
- 콘솔 접속해서 백업 서비스 신청 가능
Data teleporter
대용량 데이터 이전을 위한 효과적인 솔루션
- 대용량데이터( 최대100T ) 이전을 위한 전용 어플라이 언스 대여서비스
- 네트워크 비용 절감, 안전하고 빠른 데이터 이관이 가 능한 서비스
- 이관할 데이터를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 Object Storage / NAS 상품에 Import
- 대용량 저장 장치를 대여한 후 개인 DB에서 장치로 데이터 이동 후 클라우드 회사에 전달하여 클라우드 데이터 이전
PaaS (Platform as a Service)
IaaS 형태의 가상화 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원 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Platform) 을 미리 구축해, 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
Cloud DB for MySQL
MySQL을 이용한 완전 관리형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MySQL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지 않는 자동 페일오버 기능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구조로 구축
복제한 슬레이브 데이터베이스는 최대 10대까지 확장
자동 페일 오버 기능
- 페일 오버 기능 이용하려면 이중화가 되어 있어야 함. Master DB와 Standby DB가 있어야 함. 마스터에 문제가 생기면 스탠드바이가 마스터가 되고 슬레이브를 관리한다.
슬레이브 DB는 읽기 전용임. 읽기 명령어가 들어오면 슬레이브가 처리한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제공하는 형태로 IT 인프라 자원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버그 개선 등의 서비스를 업체가 도맡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