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운 내용/클라우드 교육

네이버 클라우드 실습7 - init script 설정하기

JooJY 2023. 10. 17. 20:22
반응형

준비물 : 네이버 클라우드 계정, MobaXTerm

 

init script를 이용해 서버를 생성할 때 프로그램을 깔거나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번 실습에서는 init script를 이용해 서버 부팅 후 아파치 웹서버와 PHP를 설치하고 테스트페이지를 다운 받은 후, 설정 내 용을 수정 후 아파치 웹서버를 기동하고자 한다.

Init Script 생성

Server -> Init Script ->  Script 생성

Script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 Script 이름 : test-script
  • OS 타입 : Linux(서버 생성 시 Linux로 생성할 것이기 때문)
  • Script
#!/bin/bash
yum -y install httpd php
systemctl enable httpd
cd /var/www/html
wget http://211.249.50.207/lab/lab.tgz
tar xvfz lab.tgz
cat phpadd >> /etc/httpd/conf/httpd.conf
systemctl restart httpd

해당 스크립트 실행 시 아파치 웹서버와 PHP를 설치하고 테스트페이지를 다운 받은 후, 설정 내용을 수정 후 아파치 웹서버를 기동하게 된다. (스크립트 작성법에 대해서는 잘 모름)

설명에도 간단하게 써준다. 

스크립트 생성 완료!

서버 생성하기

서버 생성하기 이전 과정은 이전 포스팅 실습1 - 서버 만들기 참조

서버 만들기부터 따라할 것

https://joosblog.tistory.com/299

 

네이버 클라우드 실습1 - 서버 만들기

준비물 - 네이버 클라우드 계정 (실습에 사용한 계정은 교육용 계정이기 때문에 다를 수 있음) 1. VPC 생성 1. 로그인 후 콘솔에 접속 2. Services -> Networking -> VPC 선택 -> VPC 생성 3. VPC 이름, IP 주소 범

joosblog.tistory.com

Server -> Server -> 서버 생성

NCP 서버 이미지

  • OS 타입 : CentOS
  • 하이퍼바이저 : XEN(2세대)
  • 이미지 타입 선택 : BaseOS
  • 서버 이미지 이름 : centos-7.8-64

서버 설정

  • VPC : test(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VPC)
  • Subnet : test-subnet(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subnet)
  • 서버 스펙 : standard(아무거나)
  • 요금제 : 아무거나
  • 서버 이름 : test-server
  • Network Interface : Subnet 선택 후 추가
  • 공인 IP : 새로운 공인 IP 할당(미할당 해도 나중에 가능)
  • 반납 보호 : 해제(실수로 반납을 막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 좋음)

서버 설정 맨 밑에 보면 Script 선택이 있다.

아까 만든 test-script를 선택한다.

스토리지 설정 -> 다음

인증키 설정 ->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

(기존의 인증키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해도 된다.)

네트워크 접근 설정 -> test-acg

기존에 만들었던 ACG를 선택해준다.

(혹시 ACG를 따로 만들지 않아도 default로 생성된 acg가 존재한다.)

서버 설정 최종 확인 후 서버 생성(이번 실습 주제인 script가 제대로 설정 되었나 확인)

서버 생성 완료!

서버 접속하기

MobaXterm으로 접속(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트 참조)

https://joosblog.tistory.com/300

 

네이버 클라우드 실습2 - 서버 접속하기(MobaXterm)

준비물 -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 1. MobaXterm 다운로드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joosblog.tistory.com

Session -> SSH -> Remote host에 공인 IP 넣기 -> Advanced SSH settings -> Use private key에 서버 만들 때 사용한 인증키 넣기

리눅스 관리지 비밀번호 확인

  • Server -> Server -> 서버 체크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root 권한으로 접속

  • login as : root
  • password : 관리자 비밀번호

Init Script 확인하기

Init Script 내용 

  • 서버 부팅 후 아파치 웹서버와 PHP를 설치하고 테스트페이지를 다운 받은 후, 설정 내용을 수정 후 아파치 웹서버를 기동

아파치 웹서버 설치 확인

  • 아파치 버전 확인 
httpd -v

PHP 설치 확인

  • PHP 버전 확인
php --version

아파치 상태 확인

  • 아파치 구동중인 것을 확인
systemctl status httpd

웹서버 접속하기

Server -> Server -> 서버 상세 정보 -> 공인 IP 확인

chrome에서 공인 IP 입력

  • Init Script에서 설정한 대로 간단한 웹 페이지가 나온다.
  • 서버 만들 때 설정한 ACG가 모든 IP, 모든 포트 허용이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든 IP 주소만 입력하면 접속 가능

웹 페이지 내용 바꾸기

현재 나오는 웹 페이지는 Init Script에 설정된 내용이다. 

이 내용을 바꾸고 싶으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후 내용을 변경한다.

vi /var/www/html/index.html

미리 내용이 입력되어 있다.(Init Script에서 작성한 내용)

PHP 문법에 맞게 내용을 변경하고 저장한다. 

  • i 를 누르면 insert 모드로 변경

  • 내용 변경 후 esc 누르고 :wq 입력해서 저장

다시 chrome에서 새로고침해보면 내용이 변경 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