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o's
반응형

crossplane으로 aws 리소스 만들 때 반드시 넣어야 하는 내용이 있고 없어도 되는 내용이 있따.

 

vpc.yaml이라는 파일 생성 후 아래 내용 넣기

apiVersion: ec2.aws.upbound.io/v1beta1
kind: VPC
metadata:
  name: joo-crossplane-vpc  (메타 리소스 이름)
spec:
  forProvider:
    cidrBlock: 10.10.0.0/16  (vpc ip 대역)
    region: us-east-1  (vpc 리전)
    tags: 
      Name: joo-test-vpc  (실제 aws 콘솔에서 vpc 이름)
  providerConfigRef:
    name: abcde  (생성한 provider config 이름)

kubectl 명령어로 apply하면 vpc가 생성된다.

kubectl --kubeconfig=[config 경로] apply -f vpc.yaml

apiVersion: ec2.aws.upbound.io/v1beta1
kind: Subnet  (생성할 리소스 종류)
metadata:
  name: joo-crossplane-subnet1  (메타 리소스 이름)
spec:
  forProvider:
    assignIpv6AddressOnCreation: false  (ipv6 사용 안함)
    availabilityZone: us-east-1a  (가용 영역)
    cidrBlock: 10.10.0.0/24  (서브넷 ip 대역)
    region: us-east-1  (리전 선택)
    vpcIdRef:
      name: joo-crossplane-vpc (vpc 메타 리소스 이름)
    tags:
      Name: joo-test-subnet1  (aws 콘솔 이름)
  providerConfigRef:
    name: abced  (provider config 이름)
kubectl --kubeconfig=[config 경로] apply -f subnet.yaml

 

반응형
profile

Joo's

@JooJY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