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rossplane으로 aws 리소스 만들 때 반드시 넣어야 하는 내용이 있고 없어도 되는 내용이 있따.
vpc.yaml이라는 파일 생성 후 아래 내용 넣기
apiVersion: ec2.aws.upbound.io/v1beta1
kind: VPC
metadata:
name: joo-crossplane-vpc (메타 리소스 이름)
spec:
forProvider:
cidrBlock: 10.10.0.0/16 (vpc ip 대역)
region: us-east-1 (vpc 리전)
tags:
Name: joo-test-vpc (실제 aws 콘솔에서 vpc 이름)
providerConfigRef:
name: abcde (생성한 provider config 이름)
kubectl 명령어로 apply하면 vpc가 생성된다.
kubectl --kubeconfig=[config 경로] apply -f vpc.yaml
apiVersion: ec2.aws.upbound.io/v1beta1
kind: Subnet (생성할 리소스 종류)
metadata:
name: joo-crossplane-subnet1 (메타 리소스 이름)
spec:
forProvider:
assignIpv6AddressOnCreation: false (ipv6 사용 안함)
availabilityZone: us-east-1a (가용 영역)
cidrBlock: 10.10.0.0/24 (서브넷 ip 대역)
region: us-east-1 (리전 선택)
vpcIdRef:
name: joo-crossplane-vpc (vpc 메타 리소스 이름)
tags:
Name: joo-test-subnet1 (aws 콘솔 이름)
providerConfigRef:
name: abced (provider config 이름)
kubectl --kubeconfig=[config 경로] apply -f subnet.yaml
반응형
'배운 내용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plane] internet gateway, route table만들기 (0) | 2024.05.16 |
---|---|
[crossplane] 이미 생성된 리소스 observe하기 (0) | 2024.05.16 |
[crossplane] 모든 MetaResource 확인하기 (0) | 2024.05.16 |
쿠버네티스 포트 포워딩 (1) | 2024.04.24 |
파이썬에서 configmap json으로 읽기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