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rossplane으로 ec2 만들기
리전, 스펙 입력 후 서브넷 ID 입력.
보안 그룹은 넣어도 되고 안넣어도 됨. 2가지 방법이 있는데 SG 리소스가 있을 경우 vpcSecurityGroupIdRefs로 넣으면 되고 없을 경우 vpcSecurityGroupIds 이걸로 넣으면 된다. 둘 중 아무거나 해도 상관 없음.
ami은 ec2에 설치할 os를 선택하는 것인데 ec2 -> 이미지 -> AMI 카탈로그에서 선택 후 입력한다.
ec2에 접속하기 위해 aws 키 페어에 등록되어 있는 키 이름을 입력한다.
associatePublicIpAddress을 true로 할 경우 퍼블릭 IP가 생성된다. 탄력적 IP가 아님.
tag에 이름을 넣으면 aws 콘솔에서 보이는 ec2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apiVersion: ec2.aws.upbound.io/v1beta1
kind: Instance
metadata:
name: joo-crossplane-ec2
spec:
providerConfigRef:
name: aaa
forProvider:
region: us-east-1
instanceType: t2.micro # ec2 스펙
subnetId: subnet-0cc25 # 서브넷 ID
vpcSecurityGroupIdRefs:
- name: joo-crossplane-sg1 # SG 리소스 이름
# vpcSecurityGroupIds:
# - sg-06c3c2cdd01acffe0 # sg ID
ami: ami-0bb84b8ffd87024d8 # 리눅스 뭐 쓸지 선택
keyName: joo-virginia-key # KeyPair 리소스에서 생성한 키 페어 사용
associatePublicIpAddress: true # 퍼블릭 IP 할당 설정
tags:
Name: joo-test-ec222 # AWS 콘솔 ec2 이름
반응형
'배운 내용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plane] s3 버킷 만들기 (0) | 2024.05.21 |
---|---|
[crossplane] IAM (0) | 2024.05.20 |
[crossplane] key pair (0) | 2024.05.20 |
[crossplane] Securitygroup, Securitygroup rule (0) | 2024.05.20 |
[crossplane] 리소스 삭제하기 (0) | 2024.05.17 |